이재명 대통령 취임(4일) 이후 처음 이뤄진 한미 정상 간 통화 이후 곧바로 내용을 발표한 한국과 달리, 미국은 하루가 지나도록 관련 발표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로 6일 오전 9시(한국시간 6일 오후 10시) 약 20분간 통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화 직후 한국 대통령실은 내용을 상세히 공개했으나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은 하루가 경과한 현지시간 7일 오후 현재까지 통화와 관련한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6일 한국 대통령실 발표 직후 로이터 통신발로 백악관 당국자가 `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를 초청했고 두 정상이 조만간 만날 계획`이라고 확인한 내용이 보도된 바 있지만 미측의 성명이나 보도자료 배포(공개), 대변인의 브리핑 발언, 소셜미디어(SNS) 등을 통한 공식 발표는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정상 간 통화 결과의 미측 발표의 경우 주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 계정을 통해 직접 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모든 통화를 공개한 것은 아니기에 이 대통령과의 통화 결과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것이 이례적인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1월 취임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전세계적으로 주목도 높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,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과의 통화 결과는 통화 직후 상세히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외에는 대체로 자신이 홍보할 만한 성과가 있거나, 통화를 통해 내고 싶은 메시지가 있을 때 통화 내용을 공개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일례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8일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와 통화한 뒤 "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적 보호에 대한 비용 지불"을 논의했다고 SNS를 통해 소개하며 방위비 분담금(주한미군 주둔 비용 중 한국 부담액) 증액 문제를 부각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이번 한미 정상 통화와 같은, 정상 취임 또는 당선에 즈음한 축하 인사를 겸한 통화의 경우도 소개 여부는 그때그때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일례로 트럼프 대통령은 3월 중순 취임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같은 달 28일 통화한 뒤 곧바로 SNS를 통해 결과를 알렸지만 지난달 8일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신임 총리와 통화한 뒤에는 SNS에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한미정상 통화 결과를 미측이 발표하지 않은 것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어 보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그럼에도 전반적으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60811571982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